★ 그는 발가벗었다. 모든 문학을 파괴하고 단어들을 학살한다. 그는 인간의 본질이 아니라 인간의 조건에 대해 이야기한다. 신은 죽었다. 그러나 신이 죽은 후에도 바타유는 살아남았다.
_장 폴 사르트르
★ 세월이 흐른다. 사람들은 언젠가는 바타유에 대해 말할 수 있으리라는 환상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누구도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죽으리라.
_마르그리트 뒤라스
20세기 인류 최대의 비극과 파국의 전조 앞에 폭로된 인간의 본성, 극도의 광기!
거장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슴 문학의 마스터피스
생전에는 미처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지만, 프랑스 68세대의 전폭적인 열광을 시작으로 전세계에서 20세기를 대표하는 지성으로 추앙받는 조르주 바타유. 《하늘의 푸른빛》은 첫 소설 《눈 이야기》로 약간의 명성을 얻은 바타유가 그로부터 칠 년 후인 1935년에 탈고한 장편소설이다. 불길한 나치즘에 흔들리고 전쟁에 위협받는 당시 유럽을 배경으로, 작가의 페르소나이자 주인공인 ‘트로프만’의 폭력과 죽음, 섹스로 점철된 광기어린 일상을 담고 있다. 《눈 이야기》에서 시작한, 죽음과 삶 사이의 가장 뜨거운 화두인 에로티슴을 주축으로 사유는 깊어지고 시야는 확장되었다. 《하늘의 푸른빛》을 펼쳐 ‘서장’의 진지한 목소리와 만나는 순간, ‘우리의 모든 현대성을 한 권에 담은 소설’이라는 필립 솔레르스의 극찬이 과언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권말에는 문학박사 차지연의 해제를 더해 작품의 이해를 도왔다.
책 속에서
♠
디르티는 천장에 여러 개의 전등이 달려 밝고 넓은 방에 혼자 남아 있었다. 그녀는 걸음을 멈추면 안 되는 듯 똑바로 앞을 보고 걸어다니는 중이었다. 영락없이 미친 여자였다.
그녀는 외설스러울 정도로 가슴과 어깨를 드러내고 있었다. 황금빛 머리카락은 불빛 아래 견딜 수 없을 만큼 눈부신 섬광을 발했다.
그런데도 그녀는 내게 순수를 불러일으켰다. 그녀에게는, 그녀의 방탕함 속에는, 내가 그녀의 발아래 엎드리고 싶을 정도의 순진함이 존재했다. 그렇게 될까 두려웠다. 그녀는 기진맥진해 쓰러질 것 같았다. 그러고는 힘겹게, 한 마리 짐승처럼 숨을 내쉬기 시작했다. 숨이 막히는 모양이었다. 무언가에 쫓기듯 불길해 보이는 그녀의 시선에 내 머리는 돌 지경이었다. 그녀가 걸음을 멈추었다. 옷 아래 다리를 비틀어 꼬고 있는 듯했다. 이제 헛소리를 할 것이다. _pp.20-21
♠
“당신에게 하나도 빠짐없이 다 설명해줘야 할 것 같군요.”
나는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눈물이 뺨 위를 지나 입 안으로 흘러들어갔다. 내가 런던에서 디르티와 함께 저질렀던 온갖 추잡한 짓을 최대한 노골적으로 라자르에게 설명했다.
그리고 전에도 갖가지 방법으로 아내를 기만하며 외도를 일삼았고, 디르티에게 홀딱 반해 있었던 탓에 그녀를 잃었다는 걸 알았을 때는 견딜 수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나는 라자르에게 내 생활을 빠짐없이 다 이야기했다. 그런 처녀(못생겼다는 이유로 금욕적인 엄격함 속에서 우스꽝스럽게 참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에게 그런 이야기를 했다는 것이 너무나 경솔한 행동인 것 같아 순간 부끄러웠다. _pp.50-51
♠
육체 아래의 대지는 마치 무덤처럼 열려 있었고, 그녀의 발가벗은 배는 차가운 무덤처럼 내게 열렸다. 우리는 별이 뜬 묘지 위에서 사랑을 나누며 마비되었다. 불빛 하나하나는 무덤 속의 해골 하나를 뚜렷이 비추었고, 그리하여 불빛은 뒤엉킨 우리 육체의 움직임만큼이나 불안정하게 너울거리는 하늘을 만들었다. _p.213
차례
서문 11
서장 15
1부 33
2부 39
1 | 흉조 41
2 | 어머니의 발 66
3 | 안토니오 이야기 127
4 | 하늘의 푸른빛 142
5 | 죽은 자들의 날 197
부록 227
해제 | 《하늘의 푸른빛》에 대하여(차지연) 229
작가 연보 263
1897년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의 소도시 비용에서 태어나, 매독 환자에 맹인인 아버지와 우울증을 동반한 정신착란에 시달리는 어머니 아래에서 자랐다. 한때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성직자의 삶을 꿈꾸기도 했지만, 파리 국립고문서학교에 진학하여 파리 국립도서관 사서가 되었다. 1962년 오를레앙 도서관장으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평생 사서로 일했다. 그러면서도 ‘사드의 적자’라 불릴 만큼 매음굴을 전전하며 에로티슴 소설을 썼고, 니체의 무신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헤겔의 종교철학에 심취하여 <도퀴망><크리티크> 등 당대 사상계를 주도한 잡지를 주재하기도 했다.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종교, 정치,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집필 활동을 펼쳤다. 무신론대전 3부작인 《내적 체험》《죄인》《니체에 관하여》, 죽음과 에로티슴을 다룬 소설 《눈 이야기》《마담 에두아르다》, 문학이론서 《문학과 악》《에로스의 눈물》, 미술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담은 《선사시대의 미술, 라스코 혹은 예술의 탄생》《마네》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생전에는 ‘저주의 작가’로 취급받으며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지만, 사후에 미셸 푸코, 필립 솔레르스, 자크 데리다 등 젊은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본명뿐 아니라 로드 오슈, 루이 30세 등 다양한 필명으로 출간된 그의 모든 저작은 프랑스 출판사 갈리마르에서 총 열두 권의 전집으로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