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그래서 야쿠자를 건드리지 않으려는 거야. 그런데 넌 뭐야? 지금 널 죽여봤자 내가 너보다 잃을 게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건 어째서일까?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하라 료 저자
  • 2018년 06월 05일
  • 448쪽137X197mm무선비채
  • 978-89-349-8174-9 03830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저자 하라 료 2018.06.05

일본 미스터리 문학계의 살아있는 전설! 하라 료

‘낭만 마초’ 탐정 사와자키의 탄생을 알린 강렬한 데뷔작

전면개정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어둠에 잠긴 비정한 도시, 차가운 말을 툭툭 내뱉는 무심한 탐정,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는 문체…… 자타공인 일본 하드보일드 문학의 대표 스타일리스트 하라 료! 그의 첫 등장을 알린 전설의 데뷔작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가 전면 개정되어 새롭게 한국 독자들을 찾는다. “평소 나는 번역이라는 작업을 가옥에 비유해, 이십오 년이면 슬슬 보수를 시작하고 오십 년에는 크게 개축 혹은 신축하는 게 대체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해왔다”라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번역에 대한 조언처럼, 비채에서는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를 출간 십 년을 맞아, 구석구석 정성스레 보수하고 부분에 따라서는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새로운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를 완성했다. 원문의 ‘아우라’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번역문을 세심하게 다듬었고, 신작 장편소설 《어리석은 자는 죽어야 한다》와 나란히 꽂을 수 있도록 시리즈의 일체감을 살린 세련된 표지로 소장 가치를 더욱 높였다. 

P.120-121
“내가 왜 널 죽이지 않는지 알아? 야쿠자가 누군가를 죽일 때는 자기보다 상대가 잃을 게 많다는 손익계산이 있기 때문이야. 세상 사람들이 야쿠자를 두려워하는 것도 그 손익계산이 되기 때문이지. 야쿠자와 서로 죽인다 해도 상대편이 훨씬 손해거든. 상대는 슬퍼할 부모가 있고, 보복을 두려워할 마누라가 있고, 길거리를 헤맬 자식이 있고, 멍청한 짓을 했다고 꾸짖을 친구가 있어. 그래서 야쿠자를 건드리지 않으려는 거야. 그런데 넌 뭐야? 지금 널 죽여봤자 내가 너보다 잃을 게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건 어째서일까?”
나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하시즈메의 눈에 내가 그렇게 보였다는 사실에 놀랐다. 하시즈메는 칼날을 접어 상의 주머니에 넣었다. 실크 넥타이를 고쳐 매고 올백으로 넘긴 머리를 쓰다듬더니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냉정해졌다.
P.438-439
“싸워야 할 상대는 늘 자기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일단은 스스로와의 싸움부터 시작하는 사람이 있죠. 거의 모든 사람이 둘 중 하나에 속할 겁니다. 특별히 어느 쪽이 낫다 못하다 따질 생각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야구선수라면 나가시마 시게오는 전자이고, 오 사다하루는 후자죠. 가공의 인물로 따지면 햄릿은 후자고 돈키호테가 전자라고 해야 할까요? 혹은 나폴레옹은 전자이고 아라비아의 로렌스는 후자겠죠. 물론 그 사람들은 하나의 정점에 이른 천재들이니 그래도 괜찮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은 그렇지 않죠. 한심하게도 늘 혼란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제일 골치 아픈 건 전자는 스스로와 싸워야 할 때 문제를 남과의 다툼으로 해결하려 들고, 후자는 바로 앞에 있는 적과 싸워야 할 때 스스로에 갇혀 의미 없는 소모만 반복하고……. 하지만 말로에겐 결코 그런 혼란이 없어요. 그는 어느 쪽으로도 분류할 수 없는 사람인 거죠. 당신도 아마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목차'는 준비 중입니다.
작가이미지
저자 하라 료 (原 尞)
1946년 사가 현 도스 시에서 태어났다. 규슈 대학교 문학부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공부하고 졸업 후에는 상경하여 재즈피아니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도쿄 생활을 정리하고 고향에 돌아가 글쓰기에 매진하여 1988년, 신인 작가로는 다소 늦은 나이인 마흔세 살에 정식으로 문단에 발을 들였다. 데뷔작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는 중년의 사립탐정 ‘사와자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하드보일드 소설로, 일본 문단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키며 제2회 야마모토슈고로상 후보에 올랐다. 이듬해 발표한 시리즈 두 번째 작품 《내가 죽인 소녀》로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에 오르고 제102회 나오키상을 수상하는 등 단 두 권의 장편소설로 일본 하드보일드 문학의 대표 기수로 우뚝 섰다. 특히 하라 료의 수상을 계기로 미스터리 소설이 나오키상에 시민권을 얻게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탐정 사와자키의 활약상은 장편소설 《안녕, 긴 잠이여》 《어리석은 자는 죽어야 한다》 《지금부터의 내일》, 단편집 《천사들의 탐정》으로 이어졌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복잡한 플롯, 매력적인 등장인물, 철저하게 계산된 대화, 현실감 있는 전개 등 정통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매력을 오롯이 담았다는 호평을 받으며 각종 미스터리 차트를 석권한 것은 물론이다. 작가가 평소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즐겨 읽은 만큼, 탐정 사와자키는 챈들러의 히어로 ‘필립 말로’에 비견되며 탄생 이래 일본을 대표하는 ‘낭만 마초’로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2023년 5월 타계했다. 

사진 Hayakawa Publishing, Inc. ⒸKunihiko Sugano
'출판사 리뷰'는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