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긴 잠이여
일본 하드보일드 문학의 명장 하라 료가 《안녕, 긴 잠이여》로 돌아왔다.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내가 죽인 소녀》를 잇는 ‘탐정 사와자키’ 시리즈 세번째 장편소설이다. 고교야구, 승부조작, 노能樂, 인간문화재, 동성애 등 경계가 없는 다양한 테마를 날실과 씨실 삼아 정통 하드보일드 스타일로 완벽하게 직조해냈다. 일본 출간 당시, <주간 분슌> 미스터리 베스트10 3위,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5위 등에 오르며 독자는 물론 평단까지 단숨에 사로잡은 작품이다.
안녕, 긴 잠이여 하라 료 저자 권일영 역자
  • 2013년 10월 18일
  • 576쪽137X197mm무선비채
  • 979-11-85014-34-0 03830
안녕, 긴 잠이여
안녕, 긴 잠이여 저자 하라 료 2013.10.18

일본문단의 독보적인 스타일리스트 '하라 료'

당신이 기대하는 정통 하드보일드 미학의 최대치!

 

“나에게 있어 하드보일드는 오직 문체文體의 문제입니다. 챈들러나 해밋이라도 잘 쓰지 못했다면 그건 하드보일드가 아닙니다.” _작가 인터뷰에서

 

일본 하드보일드 문학의 명장 하라 료가 《안녕, 긴 잠이여》로 돌아왔다.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내가 죽인 소녀》를 잇는 ‘탐정 사와자키’ 시리즈 세번째 장편소설이다. 고교야구, 승부조작, 노能樂, 인간문화재, 동성애 등 경계가 없는 다양한 테마를 날실과 씨실 삼아 정통 하드보일드 스타일을 완벽하게 직조해냈다. 일본 출간 당시, <주간 분슌> 미스터리 베스트10 3위,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5위 등에 오르며 독자는 물론 평단까지 단숨에 사로잡은 작품이다. 무엇보다 품격 있는 ‘낭만 마초’ 캐릭터에 목마른 독자라면 그간의 갈증을 단연 해갈할 수 있을 것이다. 500페이지가 훌쩍 넘는 탄탄한 이야기 끝에는 후기를 대신하는 짤막한 토막소설 <세기말 범죄사정- 죽음의 늪에서>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P.분문에서
겨울이 끝나갈 무렵, 한밤중이 다 되어서야 거의 사백 일 만에 도쿄로 돌아왔다. 빗속을 아홉 시간 이상 쉬지 않고 달린 블루버드를 니시신주쿠에 있는 사무실 주차장에 세우고, 편히 죽지 못한 시체처럼 뻣뻣한 몸으로 차에서 내렸다. 비는 도심에 가까워지면서부터 이슬비로 바뀌었다. 살풍경한 주차장 주변 풍경은 아무런 변화 없이 그대로였다. 애초 한 달 정도로 예상하고 이곳을 떠난 것이 마치 어제 일처럼 느껴졌다. 나는 뻐근한 등을 두드리며 뒷좌석에서 이런저런 물건을 넣어둔 작은 여행용가방과 낡은 검은색 숄더백을 꺼냈다.

이슬비 내리는 밤의 귀환이지만 이 도시는 그런 감상에 젖기에 너무나도 비열했다. 잠가놓지 않는 우편함에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한 사람이 겨우 지나다니는 좁고 낡은 건물 계단을 무거운 발걸음으로 올라가 한낮에도 결코 햇빛이 들지 않는 2층 복도 안쪽 사무실에 이르자, 일 년 이상 떠나 있던 생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몸을 휩쌌다. 출입문에 페인트로 써놓은 ‘와타나베 탐정사무소’라는 글자의 색이 문득 바랜 느낌이 들었다. 아마 예전부터 그랬지만 그간 신경을 쓰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열쇠를 꽂고 막 손잡이를 돌리려는데 뭔가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기다리는 손님을 위해 문 옆에 마련해둔 나무 벤치 너머 어둠 속에서 희미한 소리가 들린 것이다. 두 손에 들고 있던 여행용가방과 숄더백을 바닥에 떨어뜨리듯 내려놓았다.
“누구요!” 내가 날카로운 목소리로 물었다.

어둠 속에서 두툼한 종이를 비비는 듯 부스럭거리는 소리에 섞여 힘없는 한숨 소리가 들려왔다. 저항을 포기한 작은 동물이 내는 소리 같았다. 얼른 사무실 문을 열고 손을 뻗어 조명 스위치를 찾았다. 오래 비워두었지만 전기요금이나 전화요금, 임대료는 꼬박꼬박 냈다. 스위치를 올리자 어두컴컴한 복도가 밝아졌다. 벤치 너머 벽 옆에 노숙자로 보이는 사내가 앉아 있었다. “이제 오시나……?” 사내는 겸연쩍은 듯 말했다. 조명 때문에 눈이 부신지 손을 들어 불빛을 가렸다. 꾀죄죄하고 두툼한 갈색 오버코트 차림이었고, 때 묻은 검은 모자챙 아래로 뻗친 머리카락과 오십대 중반쯤 되는 얼굴이 드러났다. 모르는 남자였다.
'목차'는 준비 중입니다.
작가이미지
저자 하라 료 (原 尞)
1946년 사가 현 도스 시에서 태어났다. 규슈 대학교 문학부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공부하고 졸업 후에는 상경하여 재즈피아니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도쿄 생활을 정리하고 고향에 돌아가 글쓰기에 매진하여 1988년, 신인 작가로는 다소 늦은 나이인 마흔세 살에 정식으로 문단에 발을 들였다. 데뷔작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는 중년의 사립탐정 ‘사와자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하드보일드 소설로, 일본 문단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키며 제2회 야마모토슈고로상 후보에 올랐다. 이듬해 발표한 시리즈 두 번째 작품 《내가 죽인 소녀》로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에 오르고 제102회 나오키상을 수상하는 등 단 두 권의 장편소설로 일본 하드보일드 문학의 대표 기수로 우뚝 섰다. 특히 하라 료의 수상을 계기로 미스터리 소설이 나오키상에 시민권을 얻게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탐정 사와자키의 활약상은 장편소설 《안녕, 긴 잠이여》 《어리석은 자는 죽어야 한다》 《지금부터의 내일》, 단편집 《천사들의 탐정》으로 이어졌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복잡한 플롯, 매력적인 등장인물, 철저하게 계산된 대화, 현실감 있는 전개 등 정통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매력을 오롯이 담았다는 호평을 받으며 각종 미스터리 차트를 석권한 것은 물론이다. 작가가 평소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즐겨 읽은 만큼, 탐정 사와자키는 챈들러의 히어로 ‘필립 말로’에 비견되며 탄생 이래 일본을 대표하는 ‘낭만 마초’로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2023년 5월 타계했다. 

사진 Hayakawa Publishing, Inc. ⒸKunihiko Sugano

미국에 레이먼드 챈들러와 필립 말로가 있다면,

일본에는 하라 료와 탐정 사와자키가 있다!

 

도쿄 도심의 그늘, 신주쿠에 위치한 허름한 ‘와타나베 탐정사무소’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년의 탐정 사와자키. 《안녕, 긴 잠이여》는 일 년이 넘게 도쿄를 떠나 있던 사와자키가 오랜만에 사무소로 복귀하는 장면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구석구석 해묵은 먼지나 쌓여 있을 줄 알았던 그의 예상과 달리, 낯선 노숙자 한 사람이 사와자키의 귀환을 반긴다. 의뢰인의 대리인일 뿐이라는 노숙자의 자기소개가 이어졌지만 사와자키의 매의 눈은 그 또한 굴곡진 사연의 주인공이라는 것을 놓치지 않는데…….

이 도시의 어느 구석 치고 범행 현장이 아닌 곳이 있을까? 지나가는 행인치고 범인이 아닌 사람이 있을까? 범죄 엔트로피가 끝없이 상승하는 비정한 도시에서 고독한 중년 탐정 사와자키의 신화가 펼쳐진다.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내가 죽인 소녀》를 잇는 탐정 사와자키 시즌1 완결편!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5위 ☆<주간 분슌> 미스터리 베스트10 3위

 

평소 하라 료는 챈들러의 광팬임을 자처하며 그의 작품이라면 빠짐없이 애독하는 것은 물론, 필립 말로 시리즈를 ‘하드보일드의 이상理想’으로 삼고 있다고 밝혀왔다. 그래서인지 ―하드보일드 독서구력이 오랜 독자라면 쉽게 눈치챘을 테지만― 이번 ‘안녕, 긴 잠이여’라는 제목은 챈들러의 《안녕, 내 사랑》과 《빅 슬립》에서 모티프를 얻은 것이다. 하지만 하라 료는 제목의 오마주로만 그치지 않고, 복잡한 플롯, 매력적인 등장인물, 철저하게 계산된 대화, 현실감 있는 전개 등, 작가 특유의 풍취로 필립 말로를 넘어서는 짙은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고품격 미스터리를 당당히 완성했다. 여담이지만 《안녕, 긴 잠이여》는 그간 비채 편집부가 독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출간문의를 받은 작품이기도 하다.

 

옮긴이의 한마디

 

하드보일드 소설을 읽거나 옮길 때면 늘 ‘하드보일드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됩니다. 참고서처럼 이리저리 정리한 하드보일드의 정의도 읽어보고, 용어의 역사를 더듬어보기도 하지만 저 자신의 표현을 찾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한 여성 평론가는 ‘하드보일드란 남성용 할리퀸 로맨스다’라는 표현을 썼다고 합니다. 전후 맥락을 알지 못하지만 이 표현만 두고 보면 하드보일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에서 하드보일드에 대한 오해와 종종 마주칩니다. 굳이 수정하려고 들지 않는 까닭은 역시 하드보일드란 바로 이런 거다, 라고 간결하게 설명할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작가 하라 료도 ‘이거다’라고 정의를 내놓지 않습니다. 다만 이런 예를 들어 그 조건을 설명합니다.

 

“《빅슬립》(출판사에 따라 《깊은 잠》 《거대한 잠》 앞머리에 어느 저택을 방문한 탐정 필립 말로에게 버릇없는 그 집 막내딸이 “키가 크네요?”라고 삐딱한 태도로 묻는 장면이 나온다. 이 말에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어려운 질문이다. 현실적으로는 히죽히죽 멋쩍게 웃어넘기거나 아니면 화를 내거나 둘 중 하나다. 하드보일드 소설에서는 그러면 실격이다. 이 물음에 제대로 대답할 수 있는가 없는가로 독자는 그 소설을 판정하게 된다. 말로는 어떻게 대답했을까? 《빅슬립》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여기서는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늦어진 한국어판을 기다려준 분들을 위해 그 답을 영문으로 적어둡니다. “I didn’t mean to be.” _옮긴이의 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