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한 시대를 예치로 극복하고자 했던 순자
순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이자 현실 정치를 주장했던 사상가이다.《순자》는 당시 혼란한 사회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또 어떻게 해야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힌 책이다.
순자는 약육강식의 논리가 난무하던 당시 사회에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며 인간의 노력과 의지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혼란과 분열의 시대를 수습할 해법으로 ‘예(禮)’를 내세웠다. 군주가 예라는 사회 제도를 이용해 통치해야 한다는 ‘예치’를 주장한 것이다. 예치는 유가의 덕치와 법가의 법치가 만나는 접점으로, 순자가 생각하는 예에는 법의 요소가 담겨 있었다. 이렇게 순자의 정치사상이 덕치주의와 법치주의가 모두 아우르는 면이 있기 때문에 순자는 유가와 법가의 경계선에 서 있는 사상가로 평가되기도 한다.
하지만 순자의 사상은 덕치를 이야기하면서도 예로써 백성들과 나라를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다른 유가 사상가들과도 차이점을 지닌다. 거기다 인간의 본성을 악하게 보았다는 사실만으로 당시 학자들에게 많은 비판과 선입견에 시달려야만 했다. 하지만 순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새롭고도 솔직한 시각으로 개혁 방안을 고민했던 사상가로서 여전히 혼란이 반복되고 있는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들에게 큰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장《순자》는 어떤 책일까?
2장 순자는 어떤 사람일까?
3장 하늘과 사람이 서로 통할 리가 있느냐
4장 인간은 저절로 선해지지 않는다
5장 나라의 근간이 되는 예와 음악
6장 왕도 정치와 패도 정치
7장 부국강병의 길
8장 임금의 도리, 신하의 도리
9장 유가의 이상적 인간형
10장 학문은 흙을 쌓아 산을 이루는 것
11장 군자에게 침묵은 금물이다
12장 그릇된 이야기로 대중을 속이는 이들
<부록>
• 춘추 전국 시대는 어떤 시대였을까?
• 제자백가의 여러 사상들
• 유가와 법가의 경계선에 있는 순자
• 성선설과 성악설
서울여자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을 전공했다. 청소년 연구 및 인성 교육 콘텐츠 제작에 종사했으며, 방송 교양 프로그램의 대본을 집필하였다. 최근에는 신문, 잡지, 웹진의 기자로 활동하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 분야의 책을 쓰고 있다.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중 《김구 백범일지》《명심보감》,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중 《심리편 - 마음을 유혹하는 심리의 비밀》등을 썼다. 청소년들이 역사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바르게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화 제대로 된 세계대역사>를 집필 중에 있다.
종이책
전자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