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글 _ 4
제1장 초기불교 _ 13
1. 고타마 붓다 _ 19
1) 출가 _ 19
2) 고행과 수행 그리고 깨달음 _ 21
2. 가르침과 수행 - 괴로움에서 열반으로 _ 25
1) 4성제 _ 25
(1) 고성제 _ 36
(2) 집성제 _ 40
(3) 멸성제 _ 45
(4) 도성제 _ 46
2) 12처 _ 53
3) 5온 _ 56
4) 12연기 _ 62
5) 무상·고·무아 _ 66
6) 열반 _ 70
7) 수행의 길 - 37보리분법 속으로 _ 77
(1) 4정근 _ 78
(2) 4여의족 _ 80
(3) 5근 _ 80
(4) 4염처 _ 81
(5) 7각지 _ 86
8) 사마타와 위팟사나 _ 88
9) 3학 _ 92
10) 4무량심 _ 94
11) 계율 _ 97
(1) 5계 _ 98
(2) 10계 _ 98
(3) 구족계 _ 99
3. 붓다의 죽음 _ 101
제2장 부파불교 _ 107
1. 법의 뜻 _ 110
2. 5온의 세밀한 분석 _ 113
1) 색법 - 분별 작용 _ 115
2) 심법 - 마음 _ 116
3) 심소법 - 마음 부수 _ 116
4) 심불상응행법 - 마음과 함께하지 않는 존재 _ 118
5) 무위법 _ 119
3. 3세실유 _ 120
4. 아라한에 이르는 길 _ 122
1) 견도 _ 122
2) 수도 _ 122
3) 무학도 _ 124
제3장 대승불교 _ 127
1.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 _ 129
1) 보살 _ 129
2) 6바라밀 _ 131
(1) 보시바라밀 _ 131
(2) 지계바라밀 _ 132
(3) 인욕바라밀 _ 132
(4) 정진바라밀 _ 134
(5) 선정바라밀 _ 134
(6) 반야바라밀 _ 134
3) 공 _ 135
2. 대승불교의 흐름과 갈래 _ 139
1) 중관 _ 139
2) 유식 _ 150
3) 여래장 _ 160
4) 화엄 _ 166
5) 정토 _ 180
6) 법화 _ 186
7) 천태 _ 190
8) 밀교 _ 194
제4장 선 _ 201
1. 달마와 혜가 _ 203
2. 승찬 그리고 도신과 홍인 _ 205
3. 신수와 혜능 _ 213
4. 마조계와 석두계 _ 220
1) 마조와 그 문하 _ 220
(1) 마조 도일 _ 220
(2) 대주 혜해 _ 225
(3) 대매 법상 _ 230
(4) 황벽 희운 _ 232
(5) 임제 의현 _ 234
(6) 앙산 혜적 _ 236
2) 석두와 그 문하 _ 238
(1) 석두 희천 _ 238
(2) 약산 유엄 _ 243
(3) 동산 양개 _ 244
(4) 설봉 의존 _ 247
(5) 운문 문언 _ 251
마조계와 석두계의 계보도 _ 254
5. 간화선과 묵조선 _ 256
1) 간화선 _ 256
2) 묵조선 _ 262
간화선과 묵조선의 계보도 _ 264
찾아보기 _ 265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역경원에서 10여 년 동안 일했다. 붓다의 가르침을 대중에게 문자로 소개한 지 30년 가까이 되었다.
지은 책에 《시공 불교사전》 《이것이 불교의 핵심이다》 《불교의 모든 것》 《한 권으로 읽는 불교 고전》 《인생과 싸우지 않는 지혜》가 있고, 옮긴 책에 《금강경》, 엮은 책에 《처음 쓰는 대장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