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은 언제 지갑을 열고 어떤 공간에 열광하는가
앞으로의 비즈니스는 어떤 가치에 주목해야 하는가
대한민국 1등 카드사 빅데이터연구소가 최초로 공개하는 비즈니스 포인트
“새로운 비즈니스에 영감을 불어넣고 싶다면 반드시 펼쳐보아야 할 필독서.”
_김난도(서울대학교 교수,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대표 저자) 강력 추천!
지금 사람이 몰리는 곳에는 무엇이 있을까? 팬데믹 이후 어떤 콘텐츠가 소셜 미디어에서 적극 공유되고 있을까? 잘파 세대?밀레니얼 세대를 아우르는 대한민국 국민은 언제 어디에서 월급을 쓰고 놀고먹고 즐기고 있을까? 3,100만 고객, 300만 가맹점, 3억 5,000만 건의 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대와 시장을 읽어온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가 최초로 공개하는 비즈니스 포인트. 어림잡은 추정이 아니라 데이터 팩트에서 길어올린 정확한 분석과 통찰이 담긴 책이 출간되었다.
《넥스트 밸류 : 대한민국 가치의 대이동》은 우리에게 여유 ‘시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체험으로 기억되는 ‘공간’, 고유한 ‘관점’을 제시하는 브랜드에 주목해보자고 이야기한다. 가사 대행, 보육 중개, 퀵커머스, 예약 서비스, 스마트오더 등 가격 대비 성능을 넘어 시간 대비 효과가 중요해진 시대상을 살펴본다. 서울 성동구?송파구?영등포구 등 지역 상권에서 팝업 스토어?파인 스테이?아트 갤러리까지 사랑받는 공간이 사랑받는 이유를 파헤친다.
어디에 돈을 쓰는지 알면 세상 돌아가는 흐름이 보인다. 세상 돌아가는 흐름을 알면 앞으로 우리가 맞이할 고객과 시장을 예측할 수 있다. 한의사가 손목 안쪽을 짚으며 사람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리듯, 이 책은 성공하는 비즈니스의 맥락을 짚으며 죽어가는 비즈니스의 맥박을 다시 뛰게 만들어줄 방법을 제시한다. 예비 창업자와 대기업 종사자, 1인 크리에이터와 소상공인, 마케터와 기획자, 먹거리와 살 거리를 고민하는 모두에게 영감을 불어넣는다.
발문. 세상을 담는 그릇, 소비 빅데이터의 가치를 전하다
프롤로그. ‘지금’과 ‘여기’의 가치를 알고 있나요
PART 1. 시간 재구성
조직 일정에서 개인 일정으로,
우리가 보내는 시간은 똑같지 않다
시대가 바뀌면 시간 활용법도 달라진다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걸 구매한다
돈을 쓰는 시간이 달라지고 있다
성공보다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아침
‘뭐 먹지’가 아니라 ‘뭐 하지’를 고민하는 점심
회식 장소가 아니라 콘텐츠를 찾는 저녁
NEXT VALUE: 개인의 틈새 시간을 공략하라
PART 2. 시간 재발견
가격 대비 성능을 넘어
시간 대비 효과를 생각한다
성공하는 서비스는 시간을 창조한다
성공하는 서비스 1. 시간 해방 서비스
성공하는 서비스 2. 시간 예측, 예약, 예보 서비스
NEXT VALUE: 가성비를 넘어 시성비를 따져보라
PART 3. 공간 재생
요즘 뜨는 지역엔
고유한 옛것과 신선한 새것이 있다
외식 소비 데이터가 알려주는 핫플레이스
성동구, 영감을 주는 新로컬리티
송파구와 영등포구, 구도심이 뜨는 이유
NEXT VALUE: 지역의 오리지널리티를 찾아라
PART 4. 공간 변화
판매점에서 체험장으로,
오프라인 공간은 살아 움직인다
오프라인 공간의 생존법
적정한 기술이 사람을 향할 때
선별화, 맞춤화, 지역화
평방미터보다 매력미터
낯선 자극, 낯선 즐거움
NEXT VALUE: 고객 입장에서 플레이그라운드를 만들어라
PART 5. 공간 탄생
사람의 마음을 사는
새로운 가치와 느낌을 창조한다
존재하지 않던 공간의 장르
브랜드 공간: 사는 곳이 아니라 하는 곳
숙박 공간: 일상의 로망을 실현하는 곳
예술 공간: 지금 사람과 돈이 모이는 곳
NEXT VALUE: 감각, 감성, 감동을 깨우는 공간을 기획하라
PART 6. 가치 차별화
취향을 넘어
관점을 설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나를 찾기 위한 적극적 탐색
취향 소비에서 관점 소비로
세상의 표준에서 나만의 표준으로
네임 밸류보다 트루스 밸류
대량 생산 이코노미에서 셀프 이코노미로
NEXT VALUE: 고유한 철학과 신념을 담아라
에필로그. 시공간 변화에서 사업 가능성을 발견하라
주석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고객 수를 보유한 업계 1위 ㈜신한카드의 빅데이터 전문 조직. 2013년 말 카드사 최초로 설립되었다. 3,100만 고객과 300만 가맹점에서 발생하는 월 3억 5,000만 건의 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 과제를 수행 중이다. 2022년 3월 업계 최초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기업부설연구소로 인증받았다. 방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소비 인사이트를 발굴하며 빅데이터 모델링, AI, 음성봇 등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질적 향상에도 힘을 쏟고 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수많은 연구 결과는 약 300여 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신한카드의 데이터 기반 컨설팅 프로젝트에 활용되고 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과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