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그리면 잘 죽어질 건가?”
어느 날 찾아온 그림 선생 덕에 시작된 제주 할망들의 그림 수업
시작은 ‘할머니 예술 창고’였다. 제주 조천읍 선흘 마을에 사는 여든여섯의 홍태옥 할머니는 코로나 때문에 노인회관도 못 가고 친구 집도 못 가게 되면서 하루가 적막하고 외롭던 차였다. 여느 산간 농촌 마을이 그렇듯 제주에서도 일을 할 수만 있으면 아흔을 코앞에 둔 할머니라도 논으로 밭으로 일을 나가는데 홍태옥 할머니는 작년에 갈비뼈가 부러져 일도 못 나가고 있었다. 그때 동네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러 왔다던 그림 선생이라는 사람이 아이들과 ‘할머니 예술 창고’ 수업을 하겠다며 하루 동안 집 창고를 빌려달라고 했다. 일전에 동네 주민센터에서 개설한 ‘어르신 그림책 학교’를 다니면서 그림을 조금 배웠던 터라 반갑게 그리하라고 했다. 어느 토요일, 마당 한가득 청소년과 어른 여럿이 모여 풍경도 그리고 꽃과 나무와 오래된 빗자루와 솥과 이불장을 그렸다. 할머니도 오랜만에 그림을 그리니 좋았다. 창고 프로젝트가 끝나 섭섭했다. 그때 그림 선생이 다시 불쑥 찾아와서 “삼춘(어르신), 그림 좀 그려보세요!”라고 했다. 스케치북과 색연필과 물감도 가져와 함께 그림을 그렸다. 《할머니의 그림 수업》 첫 장이 그렇게 열렸다.
이런 마법 같은 일들을 망설임 없이 실행하고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이는 ‘반사’라는 별명을 가진 50대 예술가 최소연이다. 세상의 나쁜 기운을 반사한다는 의미로 그런 별명이 붙었다. 저자는 홍태옥 할머니와 첫 수업을 시작한 뒤로 동네 할머니들을 하나둘씩 수업에 불러들이더니 나중에는 매일같이 동네를 산책하며 집집마다 들러 동네 이웃 할머니에게 하는 것처럼 밥과 커피를 얻어먹고 마당에서 수확한 무, 당근, 고추, 오이를 받아가며 지난밤의 안부를 묻듯 그림을 권했다. 그려놓은 그림이 있으면 비행기를 태우기도 하고 그림을 벽에 붙여주고 가면서 더 연구해 보라고도 했다. 그리고 그 하루하루의 장면들을 성실히 기록했다. 그래서인지 그가 엮어놓은 문장들을 읽고 있노라면 할머니들과 나눈 매 순간의 장면들이 생생히 그려진다.
낯선 연필을 들고 주춤거리는 주름 가득한 손, 방석 밑이나 밥상 밑에 숨겨 놓았다가 수줍게 내미는 모퉁이가 구겨진 그림들, 친근한 방에 삼삼오오 모여 웃고 떠들며 그림을 그리는 할머니들, 밭에 나갈 때 쓰는 모자나 꽃무늬 바지, 무와 당근, 옥수수 등 너무나 익숙해서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는 물건들을 지그시 응시하는 도토리를 닮은 눈 같은 모습들 말이다.
그뿐인가. 그의 글 뒤로 이어지는 할머니들의 글과 그림도 감탄을 자아낸다. 그림을 배운 지 3년이 채 되지 않은, 아흔에 가까운 할머니가 그렸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아름답고 섬세한 그림과 인생이 고스란히 담긴 글까지. 그림은 곧바로 지면에서 튀어나올 듯 생생하고, 한 세기 가까운 시간 동안 경험했을 모든 희로애락이 진하게 응축된 몇 줄의 짧은 글은 그 어떤 시보다 감동적으로 마음을 울리며 눈물과 웃음을 자아낸다.
‘그림 그리는 인류’로 새로 태어난 할머니들
마을에 변화를 몰고 온, 따뜻한 우정과 친밀한 배움의 공동체
텅 빈 화폭에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기 시작한 할머니들은 전에 없던 해방감을 느끼며 ‘그림 그리는 인류’로 새롭게 태어났다. 한국전쟁, 제주 4·3 사건 등 야만적인 역사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가슴 아픈 개인사를 켜켜이 쌓아온 할머니들이 일평생 누구에게도 고라주지(이야기하지) 않고 속에 담아둔 이야기들을 하나둘 그림과 글로 표현해냈다. 그런데 그 결과물은 슬픔과 한에 매몰되지 않는다. 헤아릴 수 없는 깊이가 느껴지면서도 유쾌하고 발랄하다. 글보다 삶을 먼저 배워서일까. 과장도 꾸밈도 없는 솔직하고 투명한 작품들은 그 자체로 경건함을 느끼게 하면서 인간이 마땅히 지녀야 할 삶의 태도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하도록 한다.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그림 선생과 할머니들이 나눈 우정과 사랑도 마음을 따뜻하게 물들인다. 할머니는 갑작스러웠을 그림 선생의 방문과 제안을 망설임 없는 환대로 맞아주었고, 그림 선생이 아낌없이 내어주는 미술 재료와 가르침에 사랑으로 답했다. 그림 선생은 할머니를 표현하는 존재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동시에 그들을 통해 내일보다 오늘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며 한 뼘 더 성장해 나갔다. 그 어떤 우정이 이보다 위대할 수 있을까.
이 같은 우정으로 결성된 환대와 다정의 공동체는 점차 마을 전체로 퍼져나가며 마침내 또 다른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그림 수업을 지속하면서 여덟 할머니의 집 창고는 근사한 미술 작업실이자 개인 갤러리로 변모했고, 선흘 마을은 순식간에 개인 갤러리 여덟 곳을 갖춘 예술 마을이 되었다. 할머니의 집을 분주히 오가는 그림 선생과 그림 수업이 열리는 축제의 현장을 지켜보던 마을 사람들의 마음에도 활기가 일었고, 덩달아 신이 난 사람들은 뭔가 함께 재미나게 살아볼 일이 더 없을까 궁리하기 시작했다. 마을 영농 조합은 할머니들의 그림을 스티커로 만들어 선흘에서 출하되는 귤 상자에 붙였고,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할머니들과 함께하는 어린이 그림 수업을 열어보겠다고 나섰다. 청년 협동조합이 생기는가 하면 동네 초등학교는 학생 수가 늘어서 본교로 승격했다. 이제 선흘의 동네 예술가들과 주민들은 별일 없이 수시로 모여 그림을 그리고 꽃모종을 나누면서 생기 넘치는 풍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림 선생과 할머니들의 동화 같은 이야기, 여덟 할머니의 생애와 희로애락이 진하게 담긴 아름다운 글과 그림, ‘함께하는 예술’의 기쁨과 가능성을 모두 담은 《할머니의 그림 수업》 속으로 기꺼이 들어가 보자. 마음의 우울이 걷히고 기분이 상쾌하게 맑아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