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 이태석
마침내 만나는 이태석 신부 ‘공식 정본 전기’! 이태석 신부가 남긴 친필 자료, 그와 함께한 사람들의 증언, 100여 장의 생생한 사진을 통해 되살린 ‘인간 이태석’의 삶, ‘신부 이태석’의 길.
#전기
신부 이태석 톤즈에서 빛으로 이충렬 저자
  • 2021년 12월 16일
  • 264쪽152X225mm무선김영사
  • 978-89-349-9020-8 03810
신부 이태석
신부 이태석 톤즈에서 빛으로 저자 이충렬 2021.12.16

이태석 신부가 남긴 친필 자료, 그와 함께한 사람들의 증언,

100여 장의 생생한 사진을 통해 되살린

‘인간 이태석’의 삶, ‘신부 이태석’의 길

 

   가장 낮은 곳에서 사랑을 실천해 아프리카 톤즈의 눈물을 닦아준 사람, 가난하고 불우한 이들의 영원한 친구 이태석 신부. 사제가 되기로 결심한 순간부터 그를 톤즈로 이끈 운명 같은 만남,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내면의 갈등과 짧지만 아름다웠던 이별까지. 이태석 신부가 남긴 친필 자료, 그와 함께한 사람들의 증언, 100여 장의 생생한 사진을 통해 ‘인간 이태석’의 삶, ‘신부 이태석’의 길을 생생하게 되살려낸다. 수단어린이장학회와 함께 발간하는 선종 10주기 기념도서이자, 이태석 신부가 몸담았던 한국 살레시오회의 공인과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출판 인가를 받아 완성된 공식 정본 전기. 《간송 전형필》 《아, 김수환 추기경》 등 한국 전기문학의 대표 작가 이충렬 신작.

 

 

추천사

 

〈울지마 톤즈〉를 울면서 보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이 무심히 흘러 이태석 신부님이 우리 곁을 떠난 지 벌써 10년이 넘었다. 가장 아름다운 꽃을 먼저 꺾어 천국을 장식하는 하느님께서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꽃, 이태석 신부님을 꺾어 천국을 장식하셨지만 우리는 언제나 신부님이 그립고 보고 싶다. 그는 동방(東邦)의 사제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한 분이다. 자신의 영육(靈肉)을 완전히 사랑으로 연소시킨 인간의 촛불이자 성자(聖者)다. 그의 실천적 사랑을 섬세한 필치로 정성껏 그려낸 이 책을 읽으며 나는 무엇이 인간으로서 가장 가치 있는 삶인지 분명 깨닫게 되었다. 이제 이 가난한 지구 곳곳마다 그가 뿌린 사랑의 씨앗이 인류를 위한 사랑의 나무로 자랄 것이다.

_정호승(시인)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돌아봐야 하는 이 어려운 시대에 희망의 등불이 되어줄 책을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신부님의 48년 삶의 여정과 사랑의 기적, 아름다운 내면이 오롯이 담긴 이 책을 읽으며 오랜만에 이태석 신부님을 떠올렸습니다.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_김연아(전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선수)

'책 속에서'는 준비 중입니다.

저자의 글_ 이태석 신부가 남기고 간 선물은 ‘사랑’

 

Ⅰ 길

전공의 시험장의 빈자리

26호집에서 태어난 아이

첫 번째 부르심

갈등 속에서

의사의 길

부르심 앞에서

수도자의 길

 

Ⅱ 운명

돌멩이와 다이아몬드

살레시안으로

제안을 받다

운명적 만남

아! 톤즈

한센병 환자 마을에서

주여, 나를 보내주소서

선교사의 십자가

발을 씻어주시는 예수님

준비 또 준비

 

Ⅲ 사랑

주님, 알아서 하이소

동정 아닌 사랑으로

당신은 ‘마장딧’입니다

한센병 환자 발아래

음악과 함께

쫄리의 병원

1%를 향한 호소

슈크란 바바

희망을 짓다

씨앗을 뿌리는 마음

 

Ⅳ 약속

징후

암 진단을 받다

투쟁의 계곡

Everything is Good!

 

감사의 글

이태석 신부 연보

인터뷰 및 참고 자료

작가이미지
저자 이충렬
서울에서 출생, 1976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94년 《실천문학》을 통해 작가의 길에 들어선 후 신문과 잡지, 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오가며 소설, 르포, 칼럼을 활발히 써왔으며, 한국의 문화 및 사회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의 삶을 되살리는 데 전념하고 있다. 치밀한 자료 조사와 탄탄한 스토리텔링으로 인물의 궤적과 시대정신을 담아내 독보적인 전기 작가의 길을 개척했다.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거주하면서 집필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간송 전형필》 《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아, 김수환 추기경》 《국제법학자, 그 사람 백충현》 《천년의 화가 김홍도》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 등이 있다. 전기를 통해 한국 문화예술계 대표 인물의 생애를 발굴·복원한 공로로 제3회 혜곡최순우상을 수상했다.
'출판사 리뷰'는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