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섬에 사는 엄마를 만났다, 십 년 만에”
다랑쉬오름, 비자림, 월정리 바다, 가파도…
일상 같은 여행, 여행 같은 일상을 함께한 사십 일간의 제주 살이
돈 쓰면 큰일 날 것처럼 굴고, 앞뒤가 맞지 않는 혼잣말을 노래하듯 흥얼거리는 엄마. 어느덧 노년에 접어들었지만 인생에서 이루고 싶은 것에 대한 의지나 자식에 대한 진심은 결코 약해지지 않은 엄마, 복희 씨. 제주 이야기를 담은 책은 많지만, 이 책은 제주에 사는 복희 씨를 통해 우리 엄마, 우리 할머니를 떠올리게 하는 특별함이 있다. 그 이야기를 하나둘 접하다보면 엄마, 할머니에 대해 지녀온 그리움이나 미안함, 애잔함 등의 감정이 생생하고 풍부하게 되살아난다.
소설가인 김비의 글에는 제주의 따스한 햇볕과 시원하고도 서늘한 바람, 으스스한 추위까지 스미어 마치 인생의 희로애락을 오감으로 느끼는 듯하다. 거기에 수채화로 표현한 박조건형 작가의 제주 풍경이 더해져 여행의 깊이가 더욱 깊어진다.
글과 그림으로 담아낸 파란 바다와 탁 트인 오름, 만만치 않지만 훈훈함이 묻어나는 한라산 등반길 등의 풍경은 이들 셋과 함께 제주를 여행하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이 책은 이들 셋의 제주 살이 이야기를 통해 독자 자신의 제주 여행의 추억, 엄마를 비롯한 가족에 대한 기억을 되새기게 한다. 인간다움이 듬뿍 느껴지는 표현으로 인해 복잡다단하고 사소하지만은 않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드로잉 에세이이다.
책 속에서
이토록 가까운 곳에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이 있다니, 신비로운 기분이었다. 차도를 넓히는 공사장을 지나자 길 옆에 키 큰 나무들 너머로 완만한 다랑쉬오름이 서서히 고개를 내밀었다. 정말 오랜만에 제주에서 느껴보는 설렘이었다. 이번 여행에서 쉽게 기대할 수 없던, 두 번째 설렘.
“우와…. 이렇게 가까운 곳을 그동안 왜 못 와봤지?”
한탄 반 자책 반, 아이처럼 좋아하는 나의 혼잣말에 신랑은 무뚝뚝하게 밀양 박씨 스타일로 정확한 대답을 해주었다.
“게을러서요.”
_111쪽
“우와, 우리 엄마 장하네! 칠십이 훨씬 넘어 진달래밭대피소까지 왔네! 앞으로 보는 사람들마다 자랑하셔, 내가 이 나이에 내 두 다리로 한라산 꼭대기까지 올라갔다온 사람이다, 보는 사람마다 자랑하셔!”
“아이고, 너무 좋다! 차암, 좋아!”
주름진 얼굴의 복희 씨는 탄성을 뱉었다. 꽃나무 아래에서 꽃 무더기보다 더 환하게 웃었다.
_221쪽
복희 씨는 돌아가는 길에 배 안에서 라면과 같이 먹으라며 작은 플라스틱 통에 겉절이 한 줌을 담아주었다.
“가을에, 다시 올게요.”
“그러자, 그때는 오름 가자, 오름! 박 서방도 잘 살고…. 아무 걱정 말어! 그냥 즐겁게 살아, 즐겁게!”
복희 씨가 해줄 수 있는 말은 고작 이뿐이지만 하지 못한 말이 많다는 걸 안다. 그의 말대로라면 못 배우고 못난 어미라 똑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 말고는 해줄 수 있는 게 없다는 것을.
_258쪽
차례
프롤로그 숨어 있는 시간을 들춰보는 일
하나. 제주에
신랑은 저공비행 중
너울을 타며 먹는 라면 한 그릇
둘. 만남은
호텔도 아니고, 리조트도 아니고, 촌집에 산다는 것
푸르고 푸른 바다 앞에서
숙제하듯 살더라도, 살아요
기다림과 믿음의 시간
“이천오백 원 가격표 국, 잘 먹었습니다”
세상에서 제일 작은 옥상 위, 책 한 권, 커피 한 잔, 보일락 말락 바다
셋. 오일장으로
자식 새끼가 아니라 물고기 밥을 위하여
“여기 봐라, 신기한 것 많제?”
“파전에 오징어가 차암 많이도 들었다!”
넷. 가파도에서
섬에서 섬으로 가는 일
완만한 경사를 올라가다 뒤를 돌아보면
“손가락을 대지도 않았는데 눌러지냐?”
다섯. 복희 씨의 정원에는
제주에 사는 바람, 바람과 사람
당신의 마당 속, 당신의 마음속 꽃구경
복희 씨를 위해, 징그럽도록 천년의 사랑을
여섯. 사랑이더라
푸른 바다를 보고 마음이 후련해지지 않더라도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밑도 끝도 없는 웃긴 짓
일곱. 다랑쉬오름에서
달이 누운 언덕, 다랑쉬오름
가보지 않은 길은 아주 가까이에
시간의 굼부리를 돌아서 내려가면
여덟. 마음들
감사하다고 말하지 않고 감사를 전하는 방법
어버이날에는 매생이칼국수와 구좌상회를
연결되고, 이어지고, 다시 연결된 마음들
아홉. 가시리 마을이라면
퐁낭이 지킨 마을, 가시리 마을
“우리 앞에 열린 길, 걸으면 됩니다”
숨은 그림을 찾듯 길을 찾는 재미
열. 돌아오지 않는 산책
돌아오지 않는 산책
‘제주’라는 지옥
“비밀번호를 알려주시겠습니까?”
차마 하지 못한 이야기
손을 잡아도 되고, 잡지 않아도 되고
열하나. 그래도 비자림
서로의 허리를 끌어안고 자란 나무 둘
업히지 않아도 괜찮은 등짝
예상하지도, 기대하지도 못한 시간 앞에 서는 법
열둘. 한동리 마을에서
보호받고 보호하는 존재들
모호하고 흐릿한 그림이 전하는 부탁
열셋. 보말의 맛
지금거리는 지금지금
된장국에도, 파전에도 넣었지만
열넷. 한라산을 알고 있습니까?
더 늙으면 정말 못 갈 거 같아서
복희 씨는 처음 들어본 말 “정말 장하십니다”
“가보는 데까지 가봐, 가보는 데까지”
“아이고, 진달래 없는 진달래 밭 차암 예쁘다”
불운은 항상 예상치 못한 곳에서
주저앉아버린 모두를 위하여
우리는 모르던 한라산의 불운
열다섯. 동광리 그리고 의귀리 마을에서
한 발짝도 걷지 않는 여행
하얀 메밀꽃과 나란히 앉아
어쩌면 걷지 않아도, 멀리 나아가지 않더라도
열여섯. 울지 않고 헤어지기
활짝 핀 당아욱꽃 앞에서, 가족사진
제주 바다에, 이제야 발을 담갔다
우리 여행의 이름은
에필로그 저공비행 중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