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심초심
인간이 되는 것은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불성은 인간의 본래면목 또는 인간의 진정한 본성을 일컫는 다른 이름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더라도 사실은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불교
선심초심 어떻게 선 수행을 할 것인가 스즈키 순류 저자 정창영 역자
  • 2013년 02월 28일
  • 260쪽133X210mm무선김영사
  • 978-89-349-6226-7 03200
선심초심
선심초심 어떻게 선 수행을 할 것인가 저자 스즈키 순류 2013.02.28
“어떻게 선 수행을 할 것인가에 대한 가장 쉽고 친절한 안내서”
1970년 첫 출간 이후 40년간 전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최고의 종교 고전!
미국에 선 수행의 돌풍을 일으킨 스즈키 순류 선사의 마지막 말씀. 아무것도 없이 텅 빈 선심禪心, 모든 가능성에 열려 있는 초심初心, 선심을 위해 초심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일상의 명상, 일상의 깨달음을 위한 스즈키 순류 선사의 쉽고 자상한 수행 안내서로, 누구나 일상 속에서 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가장 대중적 입문서다. 스티브 잡스, 존 레브코스키 등 지식인들뿐 아니라, 출간 이후 전 세계 수많은 독자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전한 보석 같은 책이다.
P.151
선은 멋있고 특별한 기술이 아닙니다. 우리의 가르침은 ‘그저 살라’는 것입니다. 항상 실재 속에서, 진정한 의미의 삶을 살라는 것이지요. 순간순간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우리의 방식입니다.
P.78
인간이 되는 것은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불성은 인간의 본래면목 또는 인간의 진정한 본성을 일컫는 다른 이름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더라도 사실은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 자신, 곧 여러분의 진정한 본성을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P.247
선은 결가부좌를 할 수 있는 사람이나 강한 정신력이 있는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불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진정한 본성을 깨닫기 위한 어떤 방법을 발견해야만 합니다. 수행의 목적은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불성을 직접 체험하는 데 있습니다. 무엇을 하든지 그것이 불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어야 합니다. 불성을 알아차리는 것이 불성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노력은 모든 중생을 구하는 데로 확장되어야만 합니다.
P.213
행복은 슬픔이며 슬픔은 행복입니다. 어려움 속에 행복이 있으며 행복 속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비록 우리가 다르게 느낄지라도 그것들은 실제로 다르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똑같은 것입니다. 이것이 부처님으로부터 우리에게 전해진 세상과 삶에 대한 참다운 이해입니다.
P.212
“우리가 사랑해도 꽃은 지고, 우리가 사랑하지 않더라도 잡초는 자란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느끼든지 그저 그러한 것, 이게 인생입니다.

chapter 1 바른 수행

자세|호흡|통제력|마음의 물결|마음속 잡초|선의 정수|둘이 아니다|절하기|특별한 것은 없다

 

chapter 2 바른 태도

일편단심|반복|선과 흥분|올바른 노력|흔적 없이|신이 주시듯이|수행과 관련된 실수들|마음의 활동을 제한하라|자신을 탐구하라|기와를 갈듯이|한결같음|의사소통|부정과 긍정|폭포와 열반

 

chapter 3 바른 이해

전통적인 선의 정신|무상|존재의 속성|자연스러움|공|준비된 마음|무를 믿는 믿음|집착|고요|철학이 아닌 경험|진정한 불교|의식의 경계 너머|부처님의 깨달음

작가이미지
저자 스즈키 순류 (鈴木俊降)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정신적 스승 중 한 명인 스즈키 순류는 1905년 일본에서 태어나, 열두 살 때 아버지의 제자인 교쿠준 소온 선사의 제자가 되었다. 이후 고마자와 불교대학교와 에이헤이지 및 소지지 선원에서 공부하였고, 1959년 미국에 건너가 샌프란시스코를 근거지로 하여 미국 최초의 선원인 타사하라 선 센터 등 세 곳의 선원을 창설했다.

그는 미국 내에서 선의 위치를 공고히 확립한 인물로, 1971년 열반에 들 때까지 미국 선의 아버지로 칭송 받았다. 스즈키 순류의 보석 같은 가르침을 담은 《선심초심》은 시대를 초월한 베스트셀러로 오늘날에도 전 세계인들이 읽다.

'출판사 리뷰'는 준비 중입니다.

관련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