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마음공부에서부터 맞춤식 인생 수업까지
마음 멘토 법상스님이 제안하는 쉽고 명쾌한 행복 처방전!
흔히 명상수행은 너무 어렵다고들 한다. 특별한 엘리트 수행자나 구도자만 그 험난한 여정을 견딜 수 있어 보인다. 과연 명상수행은 특별한 사람들이나 상근기 수행자만의 전유물일까? 명상수행에 대한 편견은 보다 많은 이들이 마음공부와 명상수행의 길에 들어서는 것을 주저하게끔 했다. 법상스님은 “억지스러운 노력과 치열한 수행만이 마음공부의 전부가 아니다”라며 “명상은 즐거우며 유쾌하고, 애쓰지 않아도 되는 자연스러운 놀이요, 새롭게 깨어나는 흥미로운 여행”이라고 설명한다. 마음공부를 심각하게 생각하면 오히려 중도를 잃기 쉬우며, 집착에 빠져들기 쉽다고 한다. 몸과 마음에 힘을 빼고 가볍게 휴식을 즐기듯, 여행을 즐기듯 하면 된다는 것이다.
스님은 매 순간을 박진감 넘치는 영화를 보듯 자신의 삶을 즐겁고도 새롭게 바라보도록 이끈다.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해왔던 명상수행과 마음공부의 고정관념을 넘어서 우리의 삶이 본래부터 행복과 평화, 사랑과 지혜, 즐거움이 넘치는 것이었음을 일깨운다.
일상에서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일터에서 일을 하듯 생활 속 수행을 강조한다. 그 수행법으로 좋은 것만 받아들이고, 나쁜 것은 배척하는 습관을 경계한다. 행복도 불행도 나의 몫이고,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인생에서 괴로움, 고통이 있는 것은 우리가 거짓의 나를 나라고 믿기 때문이고, 스스로 만든 틀 속에 나를 가둬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나라는 아상도, 욕망도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 이 순간 늘 깨어있어야, 즉 나를 바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즐거운 마음공부의 길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묶어 다시 33가지 실천법으로 안내한다. 여기에서 살펴본 ‘받아들임’ ‘내려놓음’ ‘끌어당김’ ‘알아차림’ 네 가지 마음의 실천은 어떤 종교, 사상, 철학이든 근원에서 실천적인 가르침으로 설하고 있는 핵심적인 사항들이다. 다시 말해 진리와 일치를 이루는 사람들이 걸어 간 삶의 방향이며, 누누이 강조하고 실천하라고 일러준 가르침의 핵심이다.
그동안 사회에 많이 회자되던 시크릿 류의 자기계발 서적이나 영적인 서적들에서 무언가 모를 아쉬움이나 미흡함을 느끼고 있었다면 이 책은 수많은 영적 탐구와 종교적 전통, 다양한 성인들의 가르침과 현대의 다양한 자기 계발서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설해 놓은 다양한 가르침들이 어떻게 통합되고, 정리되며, 삶에서 하나로 녹아들 수 있는지를 체험적 관점에서 자상하게 안내하고 있다.
스님의 글은 따뜻하고 다정다감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쉽고 실천적이면서도 강력하다. 글을 읽다보면 어느새 삶에서 실천이 뒤따르고, 이내 평안과 지족감에 이르곤 한다.
죄의식이나 두려움을 조장하지 않으며, 그 어떤 죄나 업보, 고통 또한 다 괜찮다고 다독여 준다. 당신의 어떤 과거라도 다 용서받게 되며, 완전히 과거의 아픔에서 놓여난다. 글 속에서 자연스럽게 무한한 위안과 안정, 평화와 사랑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삶이 이토록 눈부시게 빛나는 무한한 자비요, 사랑이었음을 깨달아가며 오랜 삶의 근심을 가볍게 털어버리게 된다. 오랜 불안과 초조를 버리고 비로소 어머님의 품속과도 같은 완전한 안전과 평안의 품에 깃든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왜 ‘날마다 해피엔딩’인지, 매 순간 해피엔딩인지를 깨닫고는 안도의 한 숨을 내쉰다. 이 책을 덮는 순간 삶이란 무엇인지, 인생이란 어떤 것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가볍고도 즐거운 벅찬 행복감에 눈뜰 것이다.
“크게 버리면 크게 얻고, 나를 지우면 나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나는 오늘 한평생 매순간 떨어져 본 적 없는 친구와 이별합니다.
그 친구는 바로 내 안에 사는 생각과 마음입니다.
욕심내고 화내는 나는 내가 아닙니다.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나도 내가 아닙니다.
성공과 실패도 내가 만듭니다.
이제 나에게는 불행 끝, 행복 시작 인생이 펼쳐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