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 25 -소금의 계절
허영만 글, 그림 | 신국판 변형(157*225) | 부분 컬러 | 값 8,500원 | 계속 출간예정
드디어, 진수 성찬 결혼합니다!
이제, 진수 성찬의 알콩달콩 신혼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입안 가득 퍼지는 별미의 향연! 키조개, 팥칼국수, 감동젓무, 소금.
《식객》 25권에서 드디어, 7년의 연애 끝에 진수와 성찬이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그동안 그렇게도 성찬의 애를 태워왔던 진수가 돌연 성찬과 결혼을 결심하게 된 동기는? 새색시 진수는 과연 시어머니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 진수 성찬의 결혼과 함께 깨소금 쏟아지는 이야기들이 더욱 흥미를 고조시키며 키조개, 팥칼국수, 특이 김치 ‘감동젓무’, 이바지 음식, 소금 등의 에피소드가 맛깔나게 버무려져 펼쳐진다.
<키조개> 영원한 라이벌 성찬과 봉주가 이번엔 키조개를 두고 다시금 맛 대결을 벌인다. 키조개는 자연산보다는 양식산이 맛있다는 사실. 굽고, 데치고, 회로 먹는 등 키조개를 먹는 가장 맛있는 방법이 소개된다. 키조개 요리의 진수를 감상하는 재미!
<팥칼국수> 늘 성실하고 착하게만 살아온 성찬에게 어느 날 갑자기 우울증이 찾아왔다. 의욕상실, 무기력, 수면장애, 식욕감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성찬! 힘들어 하는 성찬을 보고, 진수는 드디어 결혼을 결심하게 되는데… 결국, 성찬의 어머니가 끓여준 전라도 토속 음식 팥칼국수에 기운을 찾는 성찬. 역시 어머니의 손맛이 만병통치로다.
<1122> 김치를 둘러싸고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수사에 관여하게 된 성찬마저 실종되는데…. 김장 재료 하나하나가 모여 스물두 가지의 효과를 낸다고 해서 지정된 김치의 날인 11월 22일에서 탈출의 실마리를 풀게 된다. 전복과 해삼, 잣이 들어간 최고급 김치 ‘감동젓무’ 비법이 소개된다. 이외에 해물보김치, 상추물김치, 열무고추씨김치, 참외물김치, 소라섞박지, 청국장포기김치, 고추씨묵은지 등 다양한 특이 김치들이 선보인다.
<이바지> 드디어 성찬과 진수의 결혼식. 우리 고유의 전통혼례 풍경이 펼쳐진다. 3화 <가을 전어 맛은 깨가 서 말>에서 첫만남을 시작으로 횟수로 7년의 연애 끝에 마침내 결혼에 골인. 결혼식을 끝낸 진수 친정에서는 이바지 음식 준비에 여념이 없는데, 과연 성찬과 사돈네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 과하지 않고 원래 의미에 충실한 이바지 음식의 진정한 모범이 선보인다.
<소금의 계절> 4권에서 소개되었던 곰소 염전에 이어, “식객”이 다시 소금을 찾았다. 이번엔 신안 염전이다. 소금이 바뀌면 맛이 바뀔 정도로 음식의 맛은 소금에서 출발한다.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은 125g에 9천원, 국산 천일염은 20kg에 1만 5천원. 루이 14세가 먹었던 소금이라는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에 비해 평가절하된 국산 천일염의 오해와 진실을 밝힌다. 현재 소금 가격의 50% 이상 가격 형성이 되어야 천일염의 희망이 생길 것이다.
[차례]
121화_ 키조개
122화_ 팥칼국수
123화_ 1122
124화_ 이바지
125화_ 소금의 계절
취재일기, 그리고 못다 한 이야기들
허영만의 요리메모
[맛의 협객, 《식객》이 걸어온 길]
1) 일본, 대만 수출!
2004년 2월 대만의 잉크 출판사와 계약!
2009년 3월 일본 고단샤와 계약! - 09년 1, 2, 3, 4, 5권 발행. 각권 2만부 판매.
2) 수상내역
* 2003년 오늘의 우리만화상
* 2004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 2004년 부천국제만화축제 BICOF 만화대상
* KBS <TV, 책을 말하다> 방송
*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 방송
* MBC <시사매거진 2580> 방송
* 2004년 스포츠투데이 히트상품
* 한국출판인회의 청소년교양도서
*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이달의 읽을만한 책
* 독서교육 교사모임 ‘책따세’ 중고생 권장도서
* 2007년 영화 <식객> 개봉, 300만 관객 돌파
* 2008년 SBS 드라마 <식객> 방송
* 2008년 MBC <황금어장> ‘무릎팍 도사’ 출연
[각권 소개]
1권 맛의 시작(어머니의 쌀/고추장 굴비/가을 전어 맛은 깨가 서 말/36・2・0・60/밥상의 주인)
2권 진수성찬을 차려라(고구마/아버지와 아들/대령숙수/Thanks Pa/부대찌개)
3권 소고기 전쟁(아롱사태/숯불구이/대분할 정형/소매상품 만들기/비육우)
4권 잊을 수 없는 맛(청국장/소금 이야기/콩국수/천렵/삼계탕)
5권 청주의 마음(반딧불이/매생이의 계절/식사의 고통/탁주/청주의 마음)
6권 마지막 김장(마지막 김장/구룡포 이야기/여기는 8000m/빙어 이야기/대게 승부)
7권 요리하는 남자(봄이 오는 소리/식객여행/요리하는 남자/1년에 딱 3일/남새와 푸새)
8권 죽음과 맞바꾸는 맛(죽음과 맞바꾸는 맛/과하주/애드리브/제호탕/1+1+1+1)
9권 홍어를 찾아서(갓김치/홍어를 찾아서/한과/미역국/참새구이)
10권 자반고등어 만들기(자반고등어/요리사의 사랑/콩나물을 닮은 여인/콩나물국밥/정어리쌈)
11권 도시의 수도승(24시간의 승부/장마/도시의 수도승/가족/식탁 위의 정물화)
12권 완벽한 음식(빈대떡/완벽한 음식/진수 성찬 옥자/연어/메밀묵)
13권 만두처럼 (소 내장에 대하여/궁중떡볶이/겨울 피라미/식혜/만두)
14권 김치찌개 맛있게 만들기(대구/김치찌개/김/우럭젓국/닭강정)
15권 돼지고기 열전(두당/족발/순대일기/돼지머리/돼지국밥)
16권 두부대결(오미자 화채/송편/망둥어/집단 가출/두부의 모든 것)
17권 원조 마산 아귀찜(어리굴젓/두 번째 식객 여행/대장간의 하루/마산 아귀찜/봄, 봄, 봄)
18권 장 담그는 날(말날/닭 한 마리/미나리/불고기 그리고 와인/아버지의 바다)
19권 국수 완전정복(바지락칼국수/잔치국수/올챙이국수/막국수/자장3대)
20권 국민주 탄생(어머니의 동동주/설락주/소주의 눈물/국민주/할아버지의 금고)
21권 가자미식해를 아십니까?(설날 떡국/호떡/가자미식해/황태/아, 서해안!)
22권 임금님 밥상(병원의 만찬/올갱이국/은어 수박 향기/보리밥, 열무김치/갯장어)
23권 아버지의 꿀단지(꿀 1kg은 꽃 560만 송이/황포묵/비빔밥 또는 비빌밥/양식 광어/돼지껍데기)
24권 동래파전 맛보러 간다(학꽁치/김치찜/엿/소갈비/동래파전)
25권 소금의 계절(키조개/팥칼국수/1122/이바지/소금의 계절)
부록 취재일기, 그리고 못다 한 이야기들 / 허영만의 요리메모
*<식객> 시리즈는 계속 이어집니다.
[작가 소개]
글, 그림 허영만
남도 여수에서 출생. 1974년 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 <집을 찾아서>가 당선되며 공식 데뷔한다. <각시탈> <무당거미> 등은 초기의 대표작으로 ‘허영만’이라는 이름 석 자를 만화판에 우뚝 세운다. 80년대를 지나며 진지한 사회참여적 성격을 띤 <벽>을 비롯, 이데올로기 만화 <오! 한강>를 발표하는데, 이들의 대중적 성공은 일반 상업매체로서 제한적이었던 만화의 소재와 주제의식을 폭넓게 확장시켜 준 뛰어난 전범이 된다. 90년대 사회의 단면을 만화적 시각으로 조망한 <아스팔트 사나이> <비트> <미스터 Q> <오늘은 마요일> <짜장면> 등을 통해,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변모를 거쳐 여전히 대가로서의 위치를 각인시킨다. 일부는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되고, 사오정 시리즈를 유행시킨 <날아라 슈퍼보드>는 애니메이션으로는 방송사상 최초로 시청률 1위에 오른다. 그 후 신문 연재만화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준 <사랑해> <타짜> 등은 폭발적인 인기를 모으며, 만화가 사회에 얼마나 큰 스펙트럼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수년간의 취재와 준비 끝에 탄생한 <식객>은 한국적인 요리만화의 새로운 경지를 감동적으로 개척해 내었다. 조용하지만 거대한 행보를 이어온 그의 작업은 지금도 30년 전과 다름없이 현재진행형이다.
이 책과 저자에 대한 문의가 있으시면 편집부로 연락주십시오.
■ 김영사 담당자 김윤경 02)3668-3209, 018-242-4320 yunkim@gimmyo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