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전시하고 애도를 파는 가게 ‘벨맨&블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열세 번째 이야기》의 작가 다이앤 세터필드 신작!
19세기 영국 런던의 리젠트 스트리트. 영국 최초의 장례용품 전문점이 문을 연다. 죽음을 전시하고 애도를 파는 곳 ‘벨맨&블랙’. 이곳의 주인 벨맨 씨는 모든 종류의 죽음에 능통하지만 정작 자신의 등 뒤에 죽음이 있음은 알지 못한다. 데뷔작 《열세 번째 이야기》로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작가 다이앤 세터필드가 10년의 기다림 끝에 《벨맨 앤드 블랙》으로 다시 독자들을 찾는다. 세터필드만의 ‘이야기의 마법’은 이번에도 통했다. 제1부에서는 휘팅포드 마을의 방직공장을, 제2부에서는 런던의 상점가 리젠트 스트리트를, 제3부에서는 하늘을 가득 수놓은 까마귀들의 검은 물결을 독자의 눈앞에 펼쳐놓는다. 특히 런던에 우뚝 솟은 거대한 장례용품점으로 이야기의 무대를 옮긴 후에는 고딕소설 특유의 음울하고도 섬세한 매력 또한 유감없이 발휘된다.
책 속에서
기온, 고도, 위험…… 인간에게 장벽이 되는 것들이 떼까마귀들에겐 장벽이 아니다. 그의 지평선은 더 넓다. 그것이 바로 지상을 떠나는 영혼들이 미스터리의 짙은 장막을 지나 산소도 필요치 않고 가뭄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는 곳으로 떠날 때 떼까마귀들이 동행하는 이유다. 육체에서 벗어난 영혼을 그곳에 데려다주고 나서, 그들은 다시 돌아온다. 다른 세상들을 거치고 유니콘의 혀와 용의 간의 향연을 지나, 다시 이 세상으로.
-94페이지
죽음은 우리 모두에게 찾아오니까요. 그게 곧 미래죠, 안 그런가요? 나의 미래. 당신의 미래. 모두의 미래.
-234페이지
죽음과 슬픔, 그리고 기억이 판매용으로 너무도 아름답게 전시되어서 가장 튼튼한 심장조차도 두근거렸고 머리는 생각에 잠겼다.
-290페이지
현금통들이 날아다녔고, 그 안에서 동전들이 짤랑거렸고, 제품들이 재어지고 세어졌고, 물건들이 포장되고 리본으로 묶였고, 주문들이 우아한 필기체로 적혔고, 그리고, 아! 눈물이 흘렀고 위로의 말들이 오갔다.
벨맨&블랙은 삶과 돈과 죽음으로 북적였다.
성공이었다.
-297페이지
강한 자나 약한 자, 부유한 자나 가난한 자, 죽음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했다. 모두가 눈물을 찍어내며 벨맨&블랙을 떠올렸다. 벨맨의 사무실 뒤 조그만 방에 있는 금고는 점점 더 그득해졌고 웨스트민스터 앤드 시티의 계좌들은 점점 더 풍성해졌다.
-334페이지
오래전, 떼까마귀가 당신의 조상의 살을 먹었고, 오래전 당신의 조상이 떼까마귀 파이를 먹었다. 사람은 떼까마귀를 먹고 떼까마귀는 사람을 먹는다. 몸이 섞인다.
-339페이지
이곳 벨맨&블랙에서 지난 십여 년 동안 그는 오직 죽음만을 생각했다. 그러나 그 자신의 유한함에 대해서는 한순간도 생각할 시간을 갖지 못했다. 참으로 기막힌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렇게 중요한 일을 어떻게 잊을 수 있단 말인가?
-405페이지
출판사 리뷰
“죽음은 우리 모두에게 찾아오니까요. 나의 미래. 당신의 미래. 모두의 미래.”
밝고 행복했던 소년은 부유하지만 아무것도 갖지 못한 남자가 되었다.
19세기 영국 휘팅포드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제1부가 시작된다. 소년 윌리엄 벨맨은 운 좋은 아이였다. 그는 영리하고 잘생겼고 교회 성가대의 스타였으며 동네 아가씨들의 인기를 한몸에 누렸다. 아버지에게 버림받았지만 백부는 그를 믿고 벨맨 방직공장에 고용해주었으며, 윌리엄은 당연히 뭐든 빨리 배웠다. 공장 역시 전에 없던 성장을 거듭했다. 아름답고 지혜로운 아가씨와 결혼해 그들을 닮은 아이들을 낳았다. 삶은 그의 것이고 행복은 필연적인 일처럼 보였다. 가족들이 하나둘 열병에 걸려 죽어가기 전까지는. 행복한 소년 윌리엄은 온데간데없고, 더없이 음울해진 제2부의 이야기는 런던으로 무대를 옮긴다. 윌리엄 벨맨은 런던의 상점가에 장례용품 전문점 ‘벨맨&블랙’을 연다. 부고장부터 상복 드레스, 흑단으로 만든 모자핀, 단단하고 질 좋은 관까지 총망라한 영국 최초의 ‘죽음 컨셉숍’이다. 죽음은 유행을 타지 않으며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찾아오니까. 이 기막힌 아이디어는 벨맨의 주위를 맴도는 의문의 남자 ‘블랙’과의 대화에서 시작되었다. 사업이 성공할수록 벨맨은 언제 블랙이 찾아올지 몰라 전전긍긍해한다. ‘벨맨&블랙’은 그에게 엄청난 부를 가져다주었지만, 정작 벨맨은 그중 무엇도 누리지 못한다.
찰스 디킨스와 에드거 앨런 포, 그림형제의 어두운 분위기를 간직한 책!
<셀프어웨어니스>
“옛날 옛날에, 유령이 사는 저택이 있었지. …옛날 옛날에, 책으로 둘러싸인 방이 있었어! …옛날 옛날에, 쌍둥이가 있었어.” 강렬한 서두로 전 세계의 독자를 사로잡은 《열세 번째 이야기》 이후 10년. 다이앤 세터필드 작가가 자신의 전공분야인 ‘19세기’로 돌아왔다. 철썩거리면서 흐르는 윈드러시 강과 하루 종일 엄청난 소음을 쏟아내는 방직공장, 리젠트 스트리트에서 기지개를 켜는 상점가와 대리석으로 벽을 세우고 위엄을 뽐내는 은행은 세터필드의 철저한 고증과 신들린 필력에 힘입어 생생한 현재가 된다. 《열세 번째 이야기》의 키워드가 ‘책’과 ‘쌍둥이’였다면, 《벨맨 앤드 블랙》의 소재는 ‘죽음’과 ‘까마귀’이다. 행복한 나날 사이로 습격해오는 죽음, 모든 것을 잃은 사람에게 유혹하듯 손짓하는 죽음, 어디로도 갈 수 없는 사람의 눈앞에 절벽처럼 놓인 죽음, 애도가 이어지는 와중에도 계속되는 삶의 기쁨, 그리고 죽음과 애도를 팔아 돈을 버는 사람들…. 주인공 윌리엄 벨맨의 삶이 생(生)이 아닌 죽음으로 이루어진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벨맨 앤드 블랙》에 등장하는 죽음은 다양하고 일상적이다. 그리고 중간중간 삽입된, 망자를 ‘저세상’으로 인도하고 돌아오는 존재인 까마귀에 대한 묘사가 신비감을 더한다. 이토록 숨 가쁘게 420페이지를 달려 마지막 책장을 넘기는 순간, 여전히 우리 앞에 버티고 있는 ‘삶’과 등 뒤에 도사린 친구이자 적(敵)인 ‘죽음’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될 것이다.
16. 추천의 말
모든 페이지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어두운 재앙의 구름 같다. <맵이즈맵>
미스터리를 품은 빅토리아 스타일의 유령 이야기. ‘불안’을 세터필드만큼 속속들이 알고 이해하며 묘사할 수 있는 작가가 또 있을까. <워싱턴포스트>
찰스 디킨스와 에드거 앨런 포, 그림형제의 어두운 분위기와 특유의 울림을 간직한 책. 목덜미의 솜털을 쭈뼛 서게 하는 고딕 서스펜스와 역사적 고증 또한 환상적이다. <셸프어웨어니스>
어두운 빅토리아풍의 어두운 유령 이야기. 지금껏 당신이 만난 그 어떤 이야기와도 다르다. <리터럿키티>
이 책을 읽고 나면 삶과 죽음을 조금 다른 각도로 보게 될 것이다. <리터러리, etc>
음산하고, 마음 따뜻하게 하고, 마음 아프게 하고, 생각하게 한다. <팝콘리드>
마법처럼 변화를 일으키는 소설이다. 세터필드가 또다시 해냈다. <북페이지>
서정적인 문장으로 펼쳐지는 참으로 기이한 이야기! <북어딕션>
음울하면서도 서정적인 분위기에 빨려든다. <라이브러리저널>
17. 작가의 한마디
이야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어렸을 땐 이렇게 생각했다. 이야기란, 날씨나 나무처럼 일종의 자연현상이 아닐까. 작가는 그 현상을 듣고 받아쓰는 필경사와 같은 존재가 아닐까.